2025 주거급여, 과연 실제로 얼마나 받을 수 있을까요? 지역별·가구원수별 지원 금액과 실제 사례까지 정리했습니다.
내 수령액 바로 확인하려면 아래 버튼을 눌러보세요.
2025년 정부는 저소득층 주거 안정을 위해 주거급여 제도를 확대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실제 신청자들은 이런 질문을 가장 많이 합니다.
“신청해도 얼마 받아요?”
“서울 1인 가구랑 지방 2인 가구 금액이 달라요?”
“임대료가 40만 원이면 다 나와요?”
그래서 오늘은 주거급여 수급자들이 실제로 얼마나 받는지,
가구원 수, 지역, 주거 형태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
2025년 기준 표로 정리해서 알려드립니다.
1. 주거급여 수령액, 어떻게 결정되나요?
주거급여 수령액은 아래 3가지를 기준으로 정해집니다:
- 가구원 수 (1인~6인 이상)
- 거주 지역 (대도시/중소도시/농어촌)
- 실제 임차료 (임대차 계약서 기준)
※ 임대료가 높아도 상한액 초과 시 지원금은 고정됩니다.
2. 2025년 기준 월 최대 수령액 (가구원 수 + 지역별)
가구원수 | 대도시 (서울 등) | 중소도시 (광역시 등) | 농어촌 지역 |
---|---|---|---|
1인 | 약 321,000원 | 약 254,000원 | 약 210,000원 |
2인 | 약 362,000원 | 약 284,000원 | 약 232,000원 |
3인 | 약 432,000원 | 약 344,000원 | 약 281,000원 |
4인 | 약 494,000원 | 약 393,000원 | 약 330,000원 |
5인 이상 | 약 545,000원 | 약 432,000원 | 약 364,000원 |
※ 실제 임대료가 기준보다 낮으면 실제 금액만 지급됩니다.
3. 실제 수령 사례
① 서울 1인 가구
- 실제 월세: 29만 원
- 기준 상한: 32.1만 원
- 실제 수령액: 290,000원
② 대구 2인 가구
- 실제 월세: 35만 원
- 지역 상한: 28.4만 원
- 실제 수령액: 284,000원
③ 전북 농촌 3인 가구
- 실제 월세: 27만 원
- 지역 상한: 28.1만 원
- 실제 수령액: 270,000원
4. 내 수령액은 얼마?
👉 복지로 홈페이지의
주거급여 모의계산기를 이용해
지역, 가구원 수, 소득, 월세를 입력하면
예상 지급금액을 바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5. 신청 조건 요약 (2025년 기준)
- 중위소득 47% 이하
- 무주택자 / 임대차 계약자
- 실제 거주 + 주민등록상 등재
- 전세/월세/보증부 월세 모두 가능